233 읽음
정부, 재정 GPT '모두의 재정' 내년 11월 오픈…AI 기반 맞춤 서비스
와이드경제
0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정부가 중앙·지방·교육 재정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공개 플랫폼 '모두의 재정' 개설을 내년 11월 오픈을 목표로 추진한다.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재정의 투명성과 국민 체감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재정정보 공개 플랫폼 '모두의 재정' 구축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분산돼 있는 '열린재정'(중앙), '지방재정365'(지방), '지방교육재정알리미'(교육) 등 재정 관련 대국민 서비스를 통합해 체계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중앙·지방·교육재정 뿐만 아니라 보조금24·중소벤처24 등 보조금과 여타 재정 관련 시스템도 연계를 강화하는 방향을 추진한다. 오픈API 연계 범위도 지방재정 100여종, 교육재정 400여종까지 확대를 추진한다.

국민이 체감하는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도 담겼다. '국민참여예산' 홈페이지는 '국민주권예산'으로 개편하고, 제안 유형을 신규사업·지출효율화·자유제안 3가지로 넓혀 우수 제안에 포상을 부여한다.

'재정용어사전'은 2800여건에서 3300여건으로 확대·개편하고, 2~7분 분량의 마이크로러닝 영상 등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해 제공한다. 재정사와 재정통계 등을 알기 쉽게 전하는 온라인 재정박물관도 신설한다.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도 도입한다. 예·결산 총량 위주 데이터를 넘어 대학·연구기관의 재정보고서를 추가 축적해 학습여건을 강화하고, 직업·연령 등 이용자 특성에 따라 생성형 AI가 맞춤형 질의응답과 보고서 요약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미지와 영상, 음성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멀티모달 기능을 활용해 웹툰·영상·카드뉴스 등 자동 시각화 콘텐츠도 지원한다. 정부는 '소버린 AI'(주권형 AI) 개념을 고려해 국산 AI를 활용해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모두의 재정'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한다. 기재부가 간사를 맡고 행정안전부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이 참여한다.

올해 하반기에는 다음달 부처 협의를 거쳐, 12월에는 AI 챗봇 시범 운영과 재정용어사전 개편·e러닝 제작을 우선 추진한다.

내년 상반기에는 온라인 재정박물관 개설과 '국민주권예산' 리뉴얼을 거쳐 최종적으로 11월에 '모두의 재정' 플랫폼을 오픈할 계획이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등과 같은 위험에 대비해 서버를 별도 장소에 추가로 두는 백업시스템 구축도 검토한다.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