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 읽음
G7 "대러 압박 가중 공동조치…러 원유 구매자 표적"
모두서치
0
주요 7개국(G7)이 우크라이나 종전을 위한 대(對)러시아 압박 일환으로 러시아산 원유 수입국을 표적으로 삼기로 중지를 모았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G7 재무장관들은 1일(현지 시간) 화상 회의 이후 성명을 내고 "러시아에 대한 압박을 가중하고 잔혹한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기 위해 공동의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했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러시아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 영공 침범 등을 거론, "지금이 우크라이나의 회복력을 강화하고 러시아의 전쟁 수행 능력을 중대하게 약화시키기 위한 조치를 대폭 조정·강화할 때"라고 했다.

특히 "러시아의 주요 수익원인 원유 수출에 대한 압박을 최대화할 때"라며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계속 늘리고 (제재) 우회를 가능하게 한 이들을 표적으로 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러시아산 물품의 수입·수출 금지와 관세 조치가 중요하다는 점에도 뜻을 모았다. 이들은 러시아산 원유 정제 상품 구매를 비롯해 향후 전쟁 자금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행위를 하는 국가 및 기업에 무역 조치 등을 고려 중이라고 했다.

이날 성명은 러시아산 원유 최대 수입국인 중국과 인도를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에 세컨더리 관세를 부과, 대인도 관세율을 50%로 상향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과 무역 협상 중인 중국에는 아직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이유로 세컨더리 관세를 매기지 않았다. 대신 유럽 국가에 자국과 유사한 조치를 촉구 중이다.

G7 재무장관들은 이날 각국에 동결된 러시아 국유자산(RSA)을 활용해 우크라이나를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방안 등도 논의했다. 이들은 오는 15일 워싱턴DC에서 열리는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 연차총회에서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