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5 읽음
금감원, 은행권과 손잡고 고령층 ‘금융교육’ 나선다


금융감독원이 은행권과 손잡고 고령층을 상대로 금융교육에 나선다.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2일 ‘노인의 날’을 맞아 은행권과 공동으로 고령층 대상 집중 교육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교육은 고령층의 디지털 금융소외와 금융사기 피해 방지 등을 위한 차원에서 실시된다.
교육은 10월부터 11월까지 두달 여간 진행된다. 금융감독원·16개 은행은 전국 각지에서 고령층을 대상으로 총 292건의 교육을 실시할 계획(잠정)이다.
금감원은 지방 교육 활성화를 위해 전체의 53%(155건)을 비수도권에서 실시하고 체험관 교육(98건), 디지털 배움터 교육(41건), 찾아가는 금융교육(153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먼저 은행의 금융교육 체험관·시니어 특화 점포에선 고령층을 위한 디지털 기기(모바일 뱅킹, 키오스크 등) 이용법, 금융사기 예방, 안정적인 노후 자산관리 등의 교육을 진행한다.
금감원과 은행은 전국 소재 디지털 배움터에서 디지털 역량교육 커리큘럼과 금융교육을 연계한 디지털 금융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금감원, 은행의 전문강사들이 전국의 노인복지시설을 방문하는 ‘찾아가는 금융교육’도 확대 실시한다. 은행앱·금융교육앱 등을 기반으로 디지털 기기에 친숙하지 않은 고령층을 위한 1대 1 맞춤형 실습방식의 교육을 실시하고, 금융사기 피해예방, 은퇴 후 자산관리 및 연금 활용법 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금융교육 프로그램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고령층의 금융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제고하는 체험형 방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금감원의 ‘금융사랑방버스’와 은행의 버스형 이동점포가 노인복지시설을 방문해 점포 내 키오스크·ATM 활용한 실습형 교육 및 전문 상담사를 통한 금융애로 상담 등을 제공한다. 아울러 노인복지시설에서 뮤지컬 형식의 금융사기 피해 예방교육도 실시한다.
금감원 측은 “앞으르도 고령층의 금융이해력 향상을 위해 디지털 금융교육, 노후자산관리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된 교육 프로그램,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어 “이번 교육에 참여하지 못한 경우 금감원의 ‘e-금융교육센터’를 통해 수시방문교육을 신청하거나, 고령층 대상 금융교육 교재, 영상 등 다양한 교육콘텐츠를 접할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