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 읽음
현대차·기아, 7월 글로벌 판매 소폭 증가... 국내 친환경차 '두 자릿수' 성장세 주도
유카포스트
0
●아이오닉9·EV3 신차 효과 뚜렷... 넥쏘 판매는 200% 폭증

●국내 전기·하이브리드 차 고성장 속에서도 기아 국내 판매는 감소

안녕하세요.

자동차 인플루언서로 활동 중인 유니지(유카포스트)입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지난 7월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며 역성장을 가까스로 피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친환경차를 중심으로 한 신차 효과가 두드러졌고, 하이브리드·전기차 등에서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7월 글로벌 실적, 현대차 33.4만대·기아 26.22만대 판매

1일 현대차·기아는 7월 한 달간의 판매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현대차는 국내 5만 6,227대, 해외 27만 8,567대를 포함해 총 33만 4,794대를 판매했으며, 이는 전년 동월 대비 0.5% 증가한 수치입니다. 기아는 국내 4만 5,017대, 해외 21만 7,188대 등 총 26만 2,705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 대비 0.3%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현대차는 국내 판매에서 팰리세이드(6,238대), 아반떼(6,145대), 그랜저(4,408대) 등의 인기에 힘입어 전년 대비 0.4% 증가한 실적을 올렸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도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며 0.5% 상승했습니다.
반면 기아는 국내 판매가 2.2% 감소한 4만 5,017대를 기록했으나, 해외 시장에서는 스포티지(4만 1,477대), K3/K4(1만 6,813대)의 견조한 수요에 힘입어 0.9%

의 상장세를 보였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카니발(7,211대), 쏘렌토(7,053대), 스포티지(5,424대), 셀토스(4,921대) 등이 판매를 견인했습니다.
친환경차 판매 급증... 아이오닉9·EV3 '신차 효과' 확실

두 회사 모두 친환경차 부문에서 인상적인 성과를 보였습니다. 현대차의 7월 친환경차 판매는 2만 2,076대로 전년 동월 대비 43.6% 증가했으며, 기아는 2만 1,918대를 판매해 22.8% 증가했습니다.
특히 하이브리드 부문에서 현대차는 1만 5,479대를, 기아는 1만 4,991대를 판매해 각각 39%, 22.6%의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전기차(EV) 역시 현대차 5,596대(43.3% ↑), 기아 6,927대(23.3% ↑)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이 가운데, 현대차의 대형 전기 SUV인 아이오닉9은 1,137대가 판매되며 전월 대비 48.2% 성장하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기아는 EV3의 꾸준한 인기가 돋보였습니다. EV3는 7월에만 2,199대가 판매되며 전월 대비 16.7%, 전년 동월 대비 11.3% 증가했으며, 기아 전체 전기차 중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수소전기차 넥쏘, 신차 효과로 '203% 급증'

현대차의 수소전기차 넥쏘는 지난달 1,001대가 판매돼 전년 동월 대비 무려 203.3% 증가했습니다. 지난 6월 출시된 완전 변경 모델 '디 올 뉴 넥쏘'가 본격적으로 고객에게 인도되기 시작하면서 폭발적인 수요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됩니다.
신형 넥쏘는 2018년 첫 출시 이후 7년 만에 등장한 2세대 모델로, 한층 개선된 디자인과 최대 720km에 달하는 1회 충전거리, 현대 스마트센스 기반의 첨단 안전사양을 갖춘 것이 특징입니다. 기존 수소차보다 주행 가능 거리와 편의 사양이 대폭 향상되며 소비자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주요 경쟁사 동향과 비교... 앞으로의 현대차·기아 판매 추이, 하반기 전망은?

경쟁사인 르노코리아는 7월 중형 SUV '그랑 콜레오스'를 앞세워 점유율 확대에 나서고 있으며, KG모빌리티(KGM) 역시 하이브리드 전략 모델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내세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현대차·기아도 전기차(EV) 라인업 확대와 하이브리드 상품성 강화 등 대응 전략을 고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편, 이번 7월 판매 실적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주요 시장의 재고 조정 기조 속에서 의미 있는 '방어적 성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신형 전기차(EV) 모델들의 본격적인 공급이 시작되며 친환경차 부문의 성장이 두드러졌습니다.
다만, 기아의 국내 판매 감소는 다소 아쉬운 대목입니다. SUV 중심의 상품군이 여전히 강세를 오비고 있지만, 시장 경쟁 심화와 재고 이슈, 가격 인상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하반기에는 상품성 개선 모델과 가격 인센티브 정책을 통해 반등을 노릴 것으로 예상되는데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드리며,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상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