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 읽음
35% 관세 맞은 캐나다 "나쁜 합의보다 무합의가 낫다"
모두서치
0
캐나다가 미국과 관세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캐나다에 35%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수출의 4분의 3을 미국으로 수출하는 캐나다로선 큰 위기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캐나다의 총리부터 야당지도자, 각종 경제단체들이 나쁜 합의보다는 합의가 없는 편이 낫다며 버틸 것을 주문하고 있다고 미 워싱턴포스트(WP)가 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미국의 관세 부과가 “실망스럽다”면서 대미 무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다변화를 추진하겠다고 천명했다.

피에르 푸알리에브르 보수당 대표도 미국의 관세가 “정당하지 않다‘면서 ”모든 미국 관세가 철폐되는 협정 이외에 아무 것도 받아들이지 말라“고 X에 썼다.

캐나다 상공회의소는 총리가 “졸속이 아닌 강력하고 미래 지향적인 합의를 우선시한 것이 옳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캐나다 수출품에 여러 차례 관세를 부과했다. 자동차에는 25%, 철강과 알루미늄에는 50%, 미·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이 적용되지 않는 수입품에는 35% 관세가 적용된다.

또 수입의 80%를 차지하는 캐나다산 연질 목재 관세도 올렸다.

캐나다에게 긍정적인 한 가지 요소가 대부분의 캐나다산 수입품이 USMCA 기준에 부합한다는 점이다. 미 인구조사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미국의 캐나다산 수입품 중 약 60%가 USMCA에 부합했으며, 이는 1월의 34%보다 오른 수치다.

경제학자들은 90% 이상에 이르는 캐나다산 수출품이 USMCA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고 말한다. 과거 소규모 및 중견 기업들이 이미 거의 무관세로 수출하면서 USMCA 적용을 신청하지 않았던 탓이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이번 주, 미국 수출품의 평균 관세율을 5%로 추정했다. 다른 나라들에 부과된 관세율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다.

다만 향후 전망이 불확실한 점이 캐나다 경제에 부담이 되고 있다.

또 특정 산업군에 집중된 관세로 인한 타격도 크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이번 주 2분기 경제성장률이 둔화된 주요 원인으로 트럼프 관세 이후 수출이 25% 줄어든 것을 꼽았다.

미국 수출 중심 산업 부문의 실업률이 높아졌고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가계 지출과 기업 투자가 위축됐다.

무역에 의존하던 산업군에서는 실업률이 상승했고, 무역 불확실성은 가계 지출과 기업 투자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트럼프의 관세와 “경제적 수단”을 통한 캐나다 병합 위협은 캐나다인들의 분노를 샀다.

이에 따라 캐나다인들은 미국산 주류를 매장에서 철거하고 미국 여행을 보이콧하기 시작했다. 수개월 간 이어진 이 보이콧은 캐나다 관광객에 의존하던 미국 지역들에 큰 타격을 주고 있으며, 이는 트럼프를 짜증나게 만들고 있다고 미국 당국자들이 밝혔다.

내년에 USMCA가 재검토될 때 캐나다와 멕시코에 다시 충격이 가해질 수도 있다. 트럼프가 협정을 폐기할 가능성마저 우려되기 때문이다.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