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7 읽음
미 사업체 일자리 7월 7.8만개 순증 그쳐…실업률 4.2%로 ↑(종합)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이는 지난해 월간 평균 순증치인 16만 8000개의 반에 못 미친다. 또 시장 예상치는 10만 개 정도였다
더구나 노동부는 이날 5월과 6월 기존 발표치를 크게 하향해서 수정 발표했다. 6월의 당초 속보치 순증규모 14만 7000개가 13만 3000개나 마이너스 수정되어 1만 4000개가 되었다.
5월에도 14만 4000개에서 12만 5000개가 빠져 1만 9000개에 지나지 않았다. 두 동안 기존 발표치에서 25만 8000개가 삭감된 것이다.
수정되지 않은 그 직전의 4월 순증치는 15만 8000개였고 3월에는 12만 개였다. 일자리가 확연히 줄어든 5월, 6월 및 7월 3개월 간의 월 평균치는 3만 5000여 개에 그친다.
사업체 일자리는 미국 총 취업자의 97% 이상을 차지한다. 그런 만큼 실업률 통계보다 노동부의 월간 고동보고서에서 더 많이 주시받고 있다.
7월 현재 미국의 총 취업자는 1억 6310만 명이었으며 이 중 사업체 일자리(payroll)는 1억 5953만 명으로 취업자의 97.8%였다.
7월 사업체 일자리 순증분 7만 3000개는 민간에서 8만 3000개가 증가하고 연방, 주 및 시의 정부기관에서 1만 개가 감소해서 나왔다. 연방 공무원 일자리가 1만 2000개 줄고 주정부와 시정부 일자리는 2000개 늘었다.
1월 이후 줄어든 연방 공무원 일자리는 8만 4000개로 집계되었다. 우편국을 제외할 경우 1월 총 301만 5000명의 연방 공무원 일자리 수가 7월 현재 233만 5000개로 줄었다.
올 들어 트럼프 정부의 관세전쟁 선포 및 1분기 경제성장률 마이너스 0.5%에도 불구하고 고용시장은 당초 발표치를 기준으로 할 경우 6월까지 월 평균치가 15만 개를 육박했었다. 미국의 인구 규모에서 최소한 월 10만 개의 사업체 일자리 순증이 요구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고용시장 호조가 이상하다고 지적했었다. 미 경제는 2분기에 연율 3.0%도 반등했으며 인플레도 오름세지만 6월 2.7%에 그치고 있다.
일자리 순증이 급감한 5월부터 7월까지는 평균 순증분이 3만 5300개이며 1월부터 4월까지의 평균 순증분은 13만 3000명이었다.
한편 별도의 가계조사를 통한 실업률 통계에서는 6월의 4.1%에서 4.2%로 올랐다. 경제활동 참가자가 3만 8000명 줄고 취업자 역시 26만 명 줄어 이 둘을 더하고 빼 나오는 실업자 수가 22만 2000명 늘어난 것이다.
실업자 총수는 723만 6000명이었고 경제활동 참가자 수는 1억 7034만 명이었다.